반응형

전치태반은 태반이 자궁 입구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덮고 있거나 자궁경부와 태반이 매우 가깝게 위치한 경우를 말니다. 태반은 산모의 자궁 내벽에 형성되어 탯줄로 연결된 태아에게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게 됩니다. 출산을 위해서는 자궁경부가 열리면서 아기가 밖으로 나오게 되는데 전치태반이 있으면 아이가 나오는 길이 막혀있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출산하기 어렵습니다.
전치태반의 종류에는 그 위치에 따라 완전 전치태반, 부분 전치태반, 가장자리 전치태반, 하위 태반의 4가지로 구분됩니다.

출처: 다음백과



전치태반이 있으면 임신기간 동안 다양한 이유로 출혈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로 조심해야 합니다. 
성관계를 피해야 하며 자극적인 운동 등도 피해야 합니다. 탐폰의 사용이나 질 세척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전치태반이 있는 산모는 제왕절개술로 분만하게 됩니다.

그럼 전치태반 증상과 출혈 이유, 원인, 치료에 대해 바로 아래에서 살펴보겠습니다.

 

전치태반 증상

가장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전치태반 증상은 임신 2분기 후반부터 질에서 통증 없이 나오는 출혈입니다. 대부분 임신 동안에 별다른 문제가 없었던 임산부에게 갑자기 발생합니다. 임신 초기에 전치태반이 있더라도 자궁이 늘어나면서 태반의 위치가 조금씩 이동하면서 자연스럽게 해결이 되는 수도 있으며 출혈의 양도 속옷에 묻는 정도부터 산모와 태아의 생명을 위협할 만한 많은 정도까지 다양할 수 있습니다.
양이 많던 적던 출혈이 나타난다면 병원에 가서 정확한 원인을 알아내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치태반 출혈 이유

임신 후반기에 접어들면 태아가 성장하면서 자궁 아랫부분은 얇아지면서 늘어나는데 태반이 자궁 아래쪽에 붙어 있을 경우 자궁벽이 늘어남에 따라 태반 부착이 불안해지면서 출혈이 발생합니다
임신 후반기에 궁을 자극하는 운동을 하거나 부부관계를 가지거나 할 때 출혈이 일어나기도 하며 아기가 나올 때에서 심각한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치태반 원인

전치태반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만 아래의 요인들이 전치태반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흡연자
- 35세 이상 산모
- 쌍둥이를 임신한 경우
- 수술 등으로 자궁이 손상을 입었다가 회복된 경우

 

전치태반 진단

임신 중기 이후 출혈이 있으면 전치태반을 의심하고 검사를 받는 것이 좋으며 태반의 위치를 알 수 있는 가장 간단하고 정확하며 안전한 방법은 초음파 검사입니다.

 

전치태반 치료

태반의 위치를 옮기는 치료방법은 없습니다. 산모와 태아의 생명이 위험할 정도의 지속적인 출혈이라면, 응급 제왕절개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출혈이 많아지면 산모의 혈액이 부족해 쇼크가 발생하거나 태아에게 충분하 산소와 영양분이 공급되지 못해 위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경미한 출혈이라면 일단 입원하여 관찰하는데 산모와 태아의 안녕이 확인되고 더 이상의 출혈이 없다면 퇴원할 수 있으며, 가능한 임신이 37주 이후까지 지속되는 것을 기대하면서 관찰합니다. 
임신을 잘 지속하여 분만하게 되었을 때 출산 방법은 제왕절개술입니다. 태반의 부착 위치가 자궁 수축이 좋은 곳이 아닌 아래쪽이라면 출혈이 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유착 태반과 동반되면 출혈이 더욱 심할 수 있습니다. 제왕절개술 도중에 출혈이 많다면, 다량의 수혈과 집중 치료가 필요합니다. 자궁수축제, 지혈제, 자궁동맥결찰술 등을 시행했음에도 출혈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자궁동맥색전술 또는 자궁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전치태반 예방 방법 및 주의사항

전치태반 예방방법은 딱 정해진 것은 없습니다. 다만 진단을 받으면 출혈을 예방하기 위해 다음에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 산모 자신을 최대한 편안하게 만들고 가족들에게도 도움을 요청합니다.
○ 피곤하면 충분한 휴식을 취합니다.
○ 자궁 및 자궁경부를 자극할 수 있는 운동을 피합니다.
○ 출산까지 부부관계를 하지 않습니다
○ 병원 전화번호, 위치나 이동 방법 등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wcs_do();